남녀갈등(12)
-
남자는 여자를 때리면 안 되는가?
행위의 가능성 측면에서 남자는 언제든지 여자를 때릴 수 있다. 그러나 도의적인 관점에서, '때려도 되는가?', '어떤 경우에 때려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쉽게 대답을 할 수 없음을 우리는 잘 안다. 우선 위 짤의 경우, 남동생의 타격 행위에 행동적 제한이 없음은 자명하다. 그러나 저 상황이 누나를 타격할 상황이었는지에 대한 명분의 확보는 중요하다. 개인적으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타격의 방향성에 옳고 그름은 없다고 생각한다. 강자가 약자를 때리는 것은 잘못으로 여겨지지만 이는 도의적인 관점에서 그렇다는 것이지, 잘 생각해보면 애초에 강자이기 때문에 약자를 때릴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힘의 논리에 따른 관점이다. 힘의 논리에 따른다고 하더라도 약자는 언제든지 힘을 모으거나 어떠한 수단을 이용하여 ..
2021.11.18 -
여자는 시선 강간을 할 수가 있는가?
지하철에서 한 남성이 맞은편에 앉은 여성을 바라본다(애초에 왜 바라보느냐는 병신 같은 지적은 잠시 뒤에 다루도록 한다.). 당시 상황은 여름으로, 그 여성은 노출이 대단한 상태였다고 하자. 남자의 시선을 느낀 여자는 기겁을 하며 남자에게 따져 묻는다. " '왜' 그렇게 '빤히' 쳐다보세요?" 남자는 항변한다. "어쩌다 보니 시선이..." 이 상황에서 우리는 누구의 주장(생각)을 더 신뢰해야 하는가? 여성의 기분이 남자의 억울함(또는 시치미)보다 더 우월하다거나 배려해 줘야 할 가치가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남자의 주장은 어떠한 이유로 덜 중요시되어도 되는가? 우선 시선 강간이라는 말이 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시선 강간의 의미를 따져본 후에, 그렇다면 반대의 경우에도 시선 강간이 성립하는지 알아..
2021.11.18 -
굴절혐오란 무엇인가?
"굴절질투라고도 한다. 자신보다 능력과 조건이 좋은 남성에 대해 느끼는 패배감과 분노를 그 남성에게 차마 풀지 못하는 남성들이 여성들을 향해 분노를 전치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국내 페미니즘 커뮤니티에는 매우 폭넓게 퍼져 있는 용어이나, RISS 및 구글 스칼라에서의 검색 결과는 확인되지 않는다. 명확한 출전 확인 필요." - 나무위키 https://twitter.com/kim_noonsong/status/1003218843370602496 김눈송 on Twitter “굴절혐오👉"특히 남성 집단 내부에서 경쟁이 심화되고 격차가 커지게 되면, 맨 꼭대기에 있는 보이지 않는 최상위 기득권 계층 대신 (만만한) 여성에게 적대감을 드러내는 경향성을 보인다." twitter.com 저들이나 저들과 비슷한 부류가 구..
2021.11.17 -
'한남'과 '앙 기모띠'는 혐오 표현인가?
항간에서는 '앙 기모띠'와 'ㅗㅜㅑ'를 여성 혐오적 용어라고 간주한다. 그런데 '앙 기모띠'가 여혐 용어라는 말은, '한남'이 남혐 용어라는 말과 별반 다르지 않다. 한남이 단순히 '한국 남자'를 지시하는 것이라면, 앙 기모띠 역시 단지 '기분이 좋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ㅗㅜㅑ'가 여성에 대한 평가를 뜻하는 용어라고 하자. 물론 여성도 남성에 대해 ㅗㅜㅑ를 쓸 수 있지만 대체적으로 남자들 사이에서 많이 쓰이는 경향이 있으니 일단 남성 편향적인 용어로 받아들인다고 하자. 이때, ㅗㅜㅑ가 여성을 희롱하는 용어라면 그것을 혐오 용어라고 비약하여 해석하는 것은 잘못이다. 왜냐하면 희롱은 혐오에 함축되지 않기 때문이다. 희롱이 혐오의 전초역前哨役이라고 간주하는 것은 단지 개연적이다. 희롱..
2021.11.16 -
묻지 마 범죄 증가 원인에 대한 여초 커뮤니티의 반응
https://theqoo.net/index.php?mid=hot&page=2&document_srl=2023657049 HOT - '묻지마 범죄' 왜 느나 했더니…인격장애 앓는 20대男 ↑ [심평원 분석 결과, 전체 환자는 줄지만 20대 남성 환자만 증가세] https://img.theqoo.net/XXIwo 욱하는 성격을 주체하지 못해 폭력적으로 변하거나 방화, 도벽 등의 충동심리를 억제하지 못하는 20대 남 theqoo.net 필자는 방금 전에 위 커뮤니티의 댓글 반응을 보고 대경했다. 확증편향에 근거한 것으로 보이는 태도와, 제시된 기사 내용과 통계자료에 대한 일말의 의심이나 숙고도 없이 특정 집합체를 향해 비아냥거리는 댓글이 많이 목도되었기 때문이다. 위 본문에서 인용한 기사는 2015년에 작성..
2021.11.15 -
요즘 젠더 갈등이 극으로 치닫는 이유
대한민국 2030, 요즘은 10대를 포함한 사회 전방위 계층을 아우르는 남녀 갈등 문제에 대해, 우리는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내가 체감하기에 남녀 갈등이 가장 급격하게 비화된 사건이 16년도에 발생한 강남역 살인사건이다. 이때를 기점으로 정말 눈에 띄게 젠더 갈등이 심화됐다. 난 그 해에 전역을 했는데, 이전까지 군대에 있어서 그런진 몰라도, 남녀 갈등이란 것에 대한 심각성을 전혀 몰랐다. 강남역에 밀려나온 젊은 남녀들이 길거리에서 말싸움을 하는 그 영상을 얼마 전에 다시 봤다. 솔직히 말하자면, 대화의 질이 정말 떨어져 보이더라. 어쨌든 이걸 보고, 도대체 왜 이런 장외 투쟁까지 벌어질 정도로 남녀의 사이가 나빠졌나를 생각해 봤다. 첫째, 인터넷 문화의 발달(보고 싶은 것만 보는 알고리즘 ..
2021.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