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7)
-
근묵자흑
https://www.youtube.com/watch?v=m4ZQMNrF3s4 즐겨 보는 유튜브 채널 중에 신사임당 채널의 정체성은 돈, 자기계발 중점이고, 근래 인터뷰 콘텐츠를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정말 다양한 사람들이 등장하는데, 여러 사람의 인생이나 생각을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하기 위해 거의 매번 시청한다. 이 영상은 특히 감명이 깊었다기보다는 자신의 변화를 위해 주변을 정리할 것을 강조하는 것이 내가 이 채널을 구독하는 이유와 연관이 있어서 소개한다. 섬네일이 어그로성이 짙은데 구체적으로 월 천을 버는 방법이 영상에 나오는 것은 아니고, 그런 사람의 태도 따위가 나온다. 가령 토요일 오후 한 시에 돈을 내고 강의를 들으러 가면 생각지도 못했던 대단한 사람을 만날 수 있다고 하는데, 그 말의 취..
2021.12.07 -
성공하려면 책을 읽어라
책은 성공의 충분조건도 필요조건도 아니다. 책은 단지 성공의 확률을 높여주는 수단일 뿐이다. 책을 읽고 반드시 성공한다면 책은 성공의 충분조건이다. 책을 읽지 않고서는 성공하지 못한다면 책은 성공의 필요조건이다. 그런데 책은 이 두 조건 가운데 어디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그렇기에 성공한 자들의 농간에 쉬이 놀아나면 안 된다. 책은 잘 이용하면 분명히 대단한 자산으로서 기능하지만 굳이 책을 읽지 않아도 잘 사는 사람은 존재한다. 마냥 책을 읽으면 성공에 더 비례하게 된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책과 성공은 반드시 비례하는 관계는 아니다. 성공한 자들의 성공 비법은 다분히 개인적이고 주관적이며 결과주의적이다. 이들 중에 어떤 이는 확증 편향에 빠져있는 경우도 있다. 확증편향과 결과주의적 해석은 다소 비슷한데, 이..
2021.12.05 -
동기부여가는 불안 장사꾼인가?
내가 장기적으로 계획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있다. 그것은 자기계발 산업 종사자들이 대가 없이 그 일을 계속할 것인가, 자기계발 이론이 옳은 것인가, 동기부여가는 왜 그 일을 하는가에 대한 것 등 자기계발 전반의 허와 실에 대한 총정리이다. 대략적으로만 생각해 보아도 이 프로젝트의 결론이 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 자기계발 산업 종사자나 동기부여가의 활동의 동기가 복합적이라는 점 등, 한 개인이 결론 내릴 수 있는 일은 아니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계발 산업에 너무나도 많은 시간을 쏟아온 사람으로서 이에 대한 찝찝함은 털고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선 자기계발이라는 복합어의 범주가 너무나도 광범위하고 자의적이라는 점에서 처음부터 논의의 개진을 힘들게 한다. 그래서 내가 논하려는 자..
2021.11.22 -
자기계발에 일반론은 없다
"자기계발에 일반론은 없다" 위의 명제에서 '없다'를 존재론적으로 없다고 하지 말고 논리적 부정으로 간주해보자. 그러니까 약간 다음과 같은 뉘앙스로 받아들이자. "자기계발의 일반론은 개별 사건에 적용되지 않는다" 필자가 견지하는 지론이며, 조금 온건하게 바꾸면, "자기계발의 일반론이 개별 사건에 반드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정도가 되겠다. 이것을 증명해보자. 위의 일반론의 예시 A를 상정하자. A : "책을 읽어야 성공한다" 이것을 개별 사건 x에 적용한다고 하자. 이때, x가 A를 받아들일 수 없는 경우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면 A는 적어도 일반적인 적용의 관점에서 거짓이다. 여기서 x가 "책을 읽을 수 없다"라는 속성을 내포한다고 하자. 이때 A와 x의 속성은 상충하므로 ..
2021.11.16 -
성공적인 삶에 대한 단상
난 성공에 대한 막연한 희원과 현실에의 자포자기적 안주를 병립적으로 취하는 삶을 살고 있다. 성공이라고 해서 반드시 자본주의적 성공을 일컫는 것은 아니다. 내가 스스로 느끼기에 만족스러울 정도의 성공을 원한다. 그 기준은 매번 달라지지만, 적어도 거기에는 일정 부분 경제적 자유가 포함되어 있다. 또 남한테 받는 인정 역시 성공의 부분적인 조건이기도 하며, 그 조건은 높은 확률로 경제적 자유에 다가서게 해줌에 틀림이 없다. 인정은 소비로 이어질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결국 나는 누군가에게 많이 소비될수록 성공에, 아니 경제적 자유에 가까워질 확률이 높아질 것으로 본다. 그런데 또 그렇지 않기도 하다. 내 성공의 큰 부분이 경제적 자유에 있다면, 내가 무턱대고 남에게 쓰임 받는다고 해서 그러한 경제적..
2021.11.16 -
실패는 인생을 명확하게 한다
"고통은 인생의 방향성을 명료하게 해주는 신호다." 어디서 주워들은 지는 모르겠는데 메모장에 기입되어 있다. 어쨌든 위의 경구들은 유사한 의미를 가지면서 내가 최근 깨달은 진리를 설파한다. 적어도 나는 그동안 실패를 하고 고통을 겪어오면서 걸러내야 할 인생의 선택지를 선분選分하는 작업을 거쳤다. 그리고 지금에서야, 적어도 군대 전역하고 어느 정도는 머리가 큰 후에, 내 앞길에 대해 5년은 생각하고 나서야 내 삶에 대한 방향성이 확립이 되는 기미가 세미하게나마 목도되는 듯하다. "가능성에 대한 호기심이 삶의 방향성이다." 나는 가능성을 좇았고, 앞으로도 좇을 것이다. 적어도 과거에 좇은 그 가능성들은 어느 정도 형태를 띠기도 한다. 이건 아니라는 대답을 해준다. 앞으로 좇을 것 역시 지금까지와 ..
2021.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