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갈등(12)
-
피해 호소인은 피해자인가?
https://www.youtube.com/watch?v=sfkJkMMFk84&list=WL&index=3 이 영상의 댓글에 신박한 관점이 있어 한 번 둘러보고자 한다. 컬 : "... 그런데 당신이 가해자 편에 서는 게 아니라면 성폭력 피해자 관점에서 먼저 보는 게 맞지 않습니까?" 네티즌 '컬'이 언급한 '성폭력 피해자'는 구분될 필요가 있다. 그가 이미 법적으로 성폭력 피해자라고 판명 난 경우에는 결과적 성폭력 피해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재판이 진행되는 중인 자는 아직 성폭력 피해자라고 단정할 수 없다. 왜냐하면 무죄 추정의 원칙이 실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법적인 판단을 신뢰하고 그로부터 처분을 받고자 한다면, 동일하게 법적인 규칙(무죄 추정의 원칙) 또한 무시해선 안 될 것이다..
2022.04.07 -
남자 인생 vs 여자 인생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42034&page=2 싱글벙글 남자인생 vs 여자인생...jpg -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 20대 초반 땀 삐질삐질 바쁜척 물타기 머임?? ㅋㅋㅋㅋㅋ gall.dcinside.com 위 그림에 거짓인 부분은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전형적인 프레임 짜기 식의 편향된 그림일 소지가 다분해 보인다. 먼저 10대 초반의 남녀를 비교해 보자. 남자아이는 사회적으로 문제시되고 있는 '보이루'라는 유행어를 발화하는, 다소 철없어 보이는(그러나 으레 저 당시 아이들이라면 당연한 모습인) 모양새를, 마치 그것이 대표적인 저들의 모습인 양 강조하듯이 표현하고 있다. 반면 여자아이는 남자아이처럼 철없어도 되는 것이 허용되는 시기임에..
2022.04.07 -
오징어 게임은 여혐적 요소로 점철된 시대착오적 졸작인가?
필자는 최근에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을 보았다. 한창 오겜 열풍으로 여기저기서 떠들 때까지 안 보다가, '어차피 안 볼 것'이라고 생각하고 유튜브에서 결말이 포함된 요약 영상을 보았다. 그런데 그렇게 결말 내용까지 알고 있는 상태에서 오징어 게임을 보게 되었는데도 꽤나 흥미진진하게 본 것을 보면 작품 자체가 최소한 오락성에는 충실하다고 생각하지 아니할 수 없겠다. 어쨌든, 그렇게 주행을 완료하고 나서 평점을 매기기 위해 왓챠피디아에 접속했는데, 예상했던 것보다 평점 평균(3.2/5.0)이 열풍의 규모에 비해 엉망(물론 작품의 재미와 평가는 별개일 수 있다)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댓글들을 쭉 확인해 보니, 아니나 다를까 특정 시각에서 사안을 해석하는 부류들에게 집단 테러를 맞은 듯이 보였다. 물..
2022.04.07 -
한남의 한남충 테스트
1. 아니다. 남자가 돈을 번다는 사실로부터 여자가 집안일을 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당위를 도출하는 것은 자연주의적 오류이다. 이는 명제 간의 관계이기 때문에 엄밀하게 따지면 '남자가 돈을 번다.'는 진위 여부를 가릴 수 있는 명제이지만, '여자가 집안일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당연하다'의 애매한 속성 때문에 진위의 여부를 가릴 수 없다는 점에서 명제가 아니라고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주의적 오류는 형식적으로 명제로부터 ~명제를 도출하는 꼴을 지시한다. 다른 예로 '남성의 동성 간 성행위는 성병 유발 확률을 높인다.'로부터 '남성의 동성 간 성행위를 지양해야 한다.'를 도출할 수 없다. 실제로도 성병 방지 도구를 이용한다는 조건이 도입되면 발병률을 낮출 수 있는 결과가 도출된다. 그리고 '..
2021.12.05 -
페미니스트의 피해망상
사실 별로 대응할 가치가 없는 주장이라고 생각되지만, 그래도 혹시 뭔가 납득할만한 논리가 숨어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에 재고해보겠다. 먼저 성차별이라는 것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성차이가 아니라 성차별이다. 그러니까 단지 성차이는 차이에 대한 대우待遇를 함축하지 않는다. 하지만 성차별은 차이에 따른 대우를 함축한다. 예를 들어, 여성 축구는 남성 축구에 비해 스피드나 박력이 떨어진다. 이것은 차이만 기술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차이에 따라 남성 축구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수요하는 것이 차별이다. 차이의 우열을 따져 우위의 것을 열등한 것보다 더 대우하는 것이다. 결과물만 보자면, 여성 축구보다 남성 축구가 더 재미있나 보다. 왜냐하면 전자에 비해 후자의 수요가 더 많기 때문이다. 물론 수요가..
2021.11.22 -
나는 페미도, 안티페미도 아니다
"나는 페미니스트나 페미니스트가 아닌 것,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내가 페미(페미니스트)나 ~페미('~'는 부정 기호),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을 수 있을까? 이것은 자연언어의 해석에 따라 두 경로로 나뉜다. 1. 나는 페미니스트도, 페미니스트가 아닌 것도 아니다. 2. 나는 페미니스트도 아니고 페미니스트가 아닌 것도 아니다. 이를 기호화하면 다음과 같다. ('∧'는 그리고, '∨'는 또는) 1. ~(페미 ∧ ~페미) ≡ ~페미 ∨ 페미 2. ~페미 ∧ ~(~페미) ≡ ~페미 ∧ 페미 해석 1은 참이고 2는 모순이다. 해석 1에 의하면 나는 반드시 페미니스트이거나 페미니스트가 아니다. '또는'기호로 구성된 선언지이므로 둘 중 하나에만 속하면 되기 때문이다. 2는 아예 참/거짓 여..
2021.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