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기술(7)
-
비슷한 정도가 비슷한가?
https://www.youtube.com/watch?v=jFrfPgLEnqU 1) abcdefgh 87.5% 2) abcdefgi 87.5% 3) abcdpqrs 87.5% 4) abcdpqrt 87.5% 5) 1234567h 12.5% 6) abcdefgh 12.5% 7) αβγδεζηθ 12.5% 8) pqrstuvθ 12.5% 1과 2는 비슷하다. 3과 4는 비슷하다. 1과 2가 비슷한 정도와 3과 4가 비슷한 정도는 비슷하다. 5와 6은 비슷하다. 7과 8은 비슷하다. 5와 6이 비슷한 정도와 7과 8이 비슷한 정도는 비슷하다. 딱히 반론의 여지가 없지만, 엉뚱한 생각을 좋아하는 나이기에, 한 번 더 생각해 보았다. 지금부터 1과 2를 A, 3과 4를 B, 5와 6을 C, 7과 8..
2021.12.09 -
A는 B와 ≠ A와 B는
https://www.youtube.com/watch?v=8tfvQrNqVoI 1. A는 B와 결혼했다. (A-B) 2. A와 B는 결혼했다. 2-1. A와 B는 서로 결혼했다. (A-B) 2-2. A와 B는 각각 결혼했다. (A-X & B-Y) 1은 A가 B와 서로 결혼한 것만을 뜻한다. 2는 1의 뜻에 더하여 A가 결혼하고 B가 각각 결혼했다는 것도 뜻한다. 3. A는 B와 항상 결부되어 있다. 4. A와 B는 항상 결부되어 있다. 3은 A → B를 의미하며 B → A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4는 물론 A와 B가 각각 무언가와 연결된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는 아닌 것 같고, 어쨌든 여기서는 A와 B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상정한다. 그렇다면 A → B와 B → A가 동..
2021.12.09 -
변화가 규칙적 ≠ 동일한 규칙에 따라 변화
https://www.youtube.com/watch?v=IFdPR88usjo 처음에 영상 내용이 잘 이해가 안 돼서 여러 번 돌려봤다. 봄 불 하나 원래 언어 pom pel park A 언어 tom tel tark B 언어 som sel sark 원래 언어에서 A 언어 규칙과 B 언어 규칙에 따라 t와 s로 나뉘는 것은 규칙적으로 변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변화가 규칙적이다. 하지만 두 규칙 간의 규칙은 다르다. 즉 두 규칙이 동일한 규칙에 따라 변하는 것은 아니다. 자연 언어의 애매함 때문에 조금 헷갈릴 수도 있다. 나도 처음엔 그랬는데, 이 '동일한'에 주목하니 명쾌히 이해됐다. t 규칙이 있고 s 규칙이 있는데, t는 t만의 규칙이 있고 s는 s만의 규칙이 있다. 이 다른 두 규칙이 동일한..
2021.12.08 -
가능세계
https://www.youtube.com/watch?v=_V2zDaAphA0 https://www.youtube.com/watch?v=_1--K8Fx-RQ https://www.youtube.com/watch?v=jZ-X7_oavDg https://orbi.kr/00019209042/2019%ED%95%99%EB%85%84%EB%8F%84(2018%EB%85%84)-%EC%88%98%EB%8A%A5-%EA%B5%AD%EC%96%B4-42%EB%B2%88---%EC%B6%9C%EC%A0%9C%EC%98%A4%EB%A5%98-%EC%9D%B4%EC%9D%98%EC%A0%9C%EA%B8%B0-'%EB%B3%B5%EC%88%98%EC%A0%95%EB%8B%B5'-(%EB%B3%B4%EC%B6%A9)?q=%EA..
2021.12.08 -
국어 실력 테스트
https://www.youtube.com/watch?v=QbdEmPn5Jvc 1. 기업이 장기적으로 존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단기 이익보다 장기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실제로 기업은 단기 이익의 극대화가 장기 이익의 극대화와 상충할 때에는 단기 이익을 과감히 포기하기도 한다. ㄱ. 기업은 단기적 손해를 감수하면 장기적 이익을 보장받는다. 2. 기업이 장기적으로 존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단기 이익보다 장기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실제로 기업은 단기 이익의 극대화가 장기 이익의 극대화와 상충할 때에는 단기적 손해를 감수하면 장기적 이익을 보장받는다. ㄱ. 기업은 단기적 손해를 감수하면 장기적 이익을 보장받는다. 1과 2의 지문에 의하면 선지 ㄱ은 모두 x이다. 난 두 문..
2021.12.08 -
추가해야 할 전제만
https://www.youtube.com/watch?v=f9u2c1Rux3I 1. 전제 : A 결론 : B 2. 전제 : A → B 결론 : A → C 3. 전제 : A, A → B 결론 : C 1의 전제로부터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추가해야 할, 즉 필요한 전제는 무엇인가? "A → B"이다. 2의 전제로부터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추가해야 할 전제는 "B → C"이다. 3은 어떤가? 우선 전제를 보면 A와 A → B로부터 B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결론 도출을 위해 필요한 전제는 'B → C'이다. 이때, 추가해야 할 전제를 고르는 문제에서 로 'ㄱ. B'와 'ㄴ. B → C'가 주어진다면 골라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우선 ㄴ이 필요하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하지만 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기..
2021.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