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는 B와 ≠ A와 B는

2021. 12. 9. 11:14생각

https://www.youtube.com/watch?v=8tfvQrNqVoI 

 

1. A는 B와 결혼했다. (A-B)

2. A와 B는 결혼했다.

2-1. A와 B는 서로 결혼했다. (A-B)

2-2. A와 B는 각각 결혼했다. (A-X & B-Y)

1은 A가 B와 서로 결혼한 것만을 뜻한다. 2는 1의 뜻에 더하여 A가 결혼하고 B가 각각 결혼했다는 것도 뜻한다.

3. A는 B와 항상 결부되어 있다.

4. A와 B는 항상 결부되어 있다.

3은 A → B를 의미하며 B → A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4는 물론 A와 B가 각각 무언가와 연결된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는 아닌 것 같고, 어쨌든 여기서는 A와 B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상정한다. 그렇다면 A → B와 B → A가 동시에 성립한다.

영상 내용은 여기까지이다. 중의적 표현은 그 문장이 비문임을 의미한다. 인공 언어를 자연 언어로 표기할 때 자주 범하는 실수이다. 언어 의미의 엄밀성을 위해 이러한 실수를 지양해야 하지만 의식하지 않으면 생각보다 헷갈려서 빈번히 틀린다. 어제 헤맸던 명제를 예시로 들어보고 싶다. 참고로 즉흥적인 분석이므로 말이 계속 바뀔 수 있다. 독자 배려형 글이 아니므로 양해 바란다.

5. 개는 포유류와 같다.

6. 개와 포유류는 같다.

1, 2와 어떠한 점이 다른가? '같다'의 의미에 의해 1, 2와는 양상이 달라진다. 5는 개 = 포유류 즉 개와 포유류는 서로 같다. 그런데 6은 2처럼 5의 의미와 함께, 개와 포유류가 각각 무언가와 같다는 뜻도 가지는가? 즉,

개 = x

포유류 = y

인가? 우선 언어적 직감으로는 아닌 것 같다. 이렇듯 술어의 속성에 의해 연언지로 구성된 조건의 의미에 변동이 발생한다. '같다'라는 술어는 같음을 이룰 수 있는 대상을 반드시 지시해야 한다. 2는 'A는 결혼했다'와 'B는 결혼했다'로 분해된다. 그런데 6을 '개는 같다'와 '포유류는 같다'로 분해할 수는 없다. 6은 두 홑문장이 '와'로 결합된 겹문장이다. 그런데 그 홑문장이 술어에 의해 불완전하다. 자세한 것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라.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15182 

 

국립국어원

축소 확대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와/과 부사어인지? 목적어인지요? 작성자 배상은 등록일 2017. 3. 31. 조회수 620 "어머니는 양파와 마늘을 국에 넣으셨다." 위 문장의 서술어 자릿수를 다음과 같

www.korean.go.kr

 

7. A와 B는 결혼했고 A는 B와 결혼했다.

7 문장에서 2의 '와'로 묶인 두 홑문장의 가능성은 상실되는가? 이걸 기호화하면

(A & B) & (A & B)

여기서 왼쪽 괄호 항이 자연 언어로 치환되어 특정 의미가 부여될 때 다의적 해석이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인공 언어와 자연 언어 간에는 비교가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8. a와 b는 결혼했고 b와 c는 결혼했다. (a와 b는 결혼했다를 좌항, b와 c는 결혼했다를 우항으로 한다.)

8 문장도 여러 해석이 가능하다. 만약 8이 2-1의 의미만 가진다면 B는 두 명과 결혼했다. 그렇다고 a와 c가 결혼한 것은 아니다. 8이 2-1의 의미를 가진다면 아래와 같이 나타낸다. (M은 Merry의 약자다.)

(aMb) & (bMc)

8이 2-2의 의미를 가진다면 아래와 같이 나타낸다.

(aMx & bMy & cMz) ∨ (aMc & bMy)

이것은 a와 b와 c가 서로가 아닌 다른 사람과 결혼한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a와 c가 결혼했을 가능성까지도 의미한다. 그런데 8의 좌항이 2-1, 우항이 2-2의 의미를 가진다면 어떠한 경우가 발생하는가?

(aMb) & (bMy & cMz)

b는 a뿐만 아니라 y와도 결혼했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 해석에 따라 b는 대한민국 민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욕받이의 삶  (0) 2021.12.09
마피아 게임 잘하는 법  (0) 2021.12.09
우상偶像  (0) 2021.12.09
그래도 ~가 낫다  (0) 2021.12.09
변화가 규칙적 ≠ 동일한 규칙에 따라 변화  (0) 2021.12.08